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교과목에따라 평가방법이 석차등급 9등급제와 성취도 ABC로 나뉩니다.
이전 교육과정부터 대학입시에서 교과성적 산출시 석차등급 9등급제로 성적산출을 해왔습니다.
2022학년도 대입부터 공통과목 및 일반선택과목은 보통 석차등급 9등급제로 평가하고, 진로선택과목이 성취도로 평가하여 A,B,C로 표기됩니다.
대학마다 진로선택과목을 반영하지 않는대학도 있고 반영하더라도 반영방법이 다른경우가 많습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특징 중 하나가 문이과의 경계를 허물고, 학생의 진로에 따른 선택권을 확대하는 데 있습니다. 이에 진로선택과목을 3개 이상 이수하도록 하였습니다. 그래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취지를 살리려면 대입에 진로선택과목을 반영해야하는데 성적 처리 및 기재 방식이 기존의 일반선택과목과 달라 대학마다 대입 반영에 다른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진로선택과목의 성적처리방식을 보면, 등급은 산출하지 않고 3단계의 성취도 ABC로 평가하되 원점수, 평균, 이수자 수, 성취수준별 학생비율을 기재합니다.
진로선택과목 반영방법
- 성취도별 단순 차등점수 부여
- 성취도와 성취도별 분포비율 반영
- 원점수 등급화 반영
- 원점수와 과목 평균 점수, 성취도를 활용
- 지원자격 부여 또는 가산점 부여
- 진로선택과목 미반영
학생부교과전형에서 진로선택과목을 미반영하는 대학도 상당히 많습니다.
그리고 진로선택과목을 반영한다면 성취도별 차등점수를 부여하는 대학들이 대부분입니다.
예를 들어, 성취도 A는 1등급, 성취도 B는 3등급, 성취도 C는 5등급으로 환산하여 반영하는것이 그 예입니다.
수도권 주요대학의 경우 진로선택과목 반영방법이 단순하지 않고 성취도별 분포비율을 반영하거나, 원점수를 반영하는 등 방법이 다양하므로 진학하고자 하는 대학의 반영방법을 반드시 확인하셔야 합니다.
진로선택과목의 대입 반영은 일반선택과목과 차이가 있습니다. 학생부교과전형에서 반영방법의 차이뿐 아니라 학생부종합전형에서 학교생활기록부를 정성평가하게되는데, 진로선택과목과 지원 전공(계열)과의 관련성, 세특 기록을 통해 알 수 있는 전공적합성, 학업역량, 발전가능성, 인성 등을 고려합니다. 이를 위해 진로선택과목에서 성취도, 성취도 별 분포비율, 원점수, 과목평균, 이수단위, 이수자 수 등을 최대한 활용하여 정성평가를 진행할 것입니다.
위 글의 출처는 세종교육청의 보인다시리즈입니다.
더 많은 대학입시자료는 보인다 시리즈에서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대학입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입 전형의 종류와 준비 방법 (0) | 2022.05.10 |
---|---|
학교생활기록부(학생부) 간소화, 학생부 기재항목 (0) | 2022.05.09 |
고등학교 선택과목 미개설시 어떻게할까요? (0) | 2022.04.30 |
학종에서 자기소개서 폐지언제부터?? (0) | 2022.04.30 |
학종 서류평가에서 입학사정관이 중요하게 보는 요소 (0) | 2022.04.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