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학입시정보

진로선택과목 대학입시에 반영방법은?

by 띵입시 2022. 5. 1.
반응형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교과목에따라 평가방법이 석차등급 9등급제와 성취도 ABC로 나뉩니다.

이전 교육과정부터 대학입시에서 교과성적 산출시 석차등급 9등급제로 성적산출을 해왔습니다.

2022학년도 대입부터 공통과목 및 일반선택과목은 보통 석차등급 9등급제로 평가하고, 진로선택과목이 성취도로 평가하여 A,B,C로 표기됩니다.

대학마다 진로선택과목을 반영하지 않는대학도 있고 반영하더라도 반영방법이 다른경우가 많습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특징 중 하나가 문이과의 경계를 허물고, 학생의 진로에 따른 선택권을 확대하는 데 있습니다. 이에 진로선택과목을 3개 이상 이수하도록 하였습니다. 그래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취지를 살리려면 대입에 진로선택과목을 반영해야하는데 성적 처리 및 기재 방식이 기존의 일반선택과목과 달라 대학마다 대입 반영에 다른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진로선택과목의 성적처리방식을 보면, 등급은 산출하지 않고 3단계의 성취도 ABC로 평가하되 원점수, 평균, 이수자 수, 성취수준별 학생비율을 기재합니다.

 

진로선택과목 반영방법

  • 성취도별 단순 차등점수 부여
  • 성취도와 성취도별 분포비율 반영
  • 원점수 등급화 반영
  • 원점수와 과목 평균 점수, 성취도를 활용
  • 지원자격 부여 또는 가산점 부여
  • 진로선택과목 미반영

학생부교과전형에서 진로선택과목을 미반영하는 대학도 상당히 많습니다.

그리고 진로선택과목을 반영한다면 성취도별 차등점수를 부여하는 대학들이 대부분입니다.

예를 들어, 성취도 A는 1등급, 성취도 B는 3등급, 성취도 C는 5등급으로 환산하여 반영하는것이 그 예입니다.

수도권 주요대학의 경우 진로선택과목 반영방법이 단순하지 않고 성취도별 분포비율을 반영하거나, 원점수를 반영하는 등 방법이 다양하므로 진학하고자 하는 대학의 반영방법을 반드시 확인하셔야 합니다.

 

진로선택과목의 대입 반영은 일반선택과목과 차이가 있습니다. 학생부교과전형에서 반영방법의 차이뿐 아니라 학생부종합전형에서 학교생활기록부를 정성평가하게되는데, 진로선택과목과 지원 전공(계열)과의 관련성, 세특 기록을 통해 알 수 있는 전공적합성, 학업역량, 발전가능성, 인성 등을 고려합니다. 이를 위해 진로선택과목에서 성취도, 성취도 별 분포비율, 원점수, 과목평균, 이수단위, 이수자 수 등을 최대한 활용하여 정성평가를 진행할 것입니다.

 

 

 


 

위 글의 출처는 세종교육청의 보인다시리즈입니다.

더 많은 대학입시자료는 보인다 시리즈에서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