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대학교 입시에는 여러 용어들이 있는데 그 용어들 때문에 복잡한 대학입시가 더 어렵게 느껴집니다.
정말 많은 용어들이 있기 때문에 몇 번에 걸쳐서 정리해보려 합니다.
저번 글에서는 기초용어를 정리해봤고 이번엔 학교생활기록부에서 나오는 용어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앞서 정리했던 내용과 겹치는 내용도 있으나 여러 번 보면 금방 익숙해지실 수 있습니다.
학교생활기록부
학생의 기본 인적사항과 성적, 특별활동, 출결상황, 행동특성, 교과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등 학생의 학교생활 전반에 대한 기록부로 담임 교사가 작성합니다. 학생부에는 교과 영역과 비교과 영역에 대한 상세 평가가 기록됩니다.
교과 영역
학생들이 고등학교 과정에서 학습하게 되는 각 교과목의 성적을 말합니다.
중간고사, 기말고사, 수행평가
비교과 영역
교과를 제외한 모든 요소로, 일반적으로 출결 및 봉사활동, 특별활동, 자격증, 수상 성적 등이 해당합니다.
출결상황
총 수업일수 중 결석이나 지각, 조퇴, 결과 등을 얼마나 했는지 표기
창의적체험활동상황
어떤 자율활동이나 봉사활동, 동아리 활동, 진로활동을 했고 거기서 알게 된 점과 느낀 점을 적는 칸
학생부 종합에서 상당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세부능력 특기사항
교과 활동 시 수행평가나 과제, 토론활동 등 거기서 알게 된 점과 느낀 점을 적는 칸
학생부 종합에서 상당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담임 선생님이 한 해 동안 학생의 생활습관과 행동을 유심히 관찰한 후 그 특징과 잠재력, 학생의 개인적인 능력에 대해 적는 칸
학생부종합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석차등급
과목 석차 백분위를 활용해서 이수자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낸 값으로 1~9등급으로 표시합니다.
상대평가의 평가지표로 활용됩니다.
성취도
학생이 달성한 과목별 성취율에 따라 정한 평가기준으로 A~C나 A~E로 표시합니다.
절대평가의 평가지표로 활용됩니다.
이수단위
해당 학기의 주당 수업시수로, 한 학기를 기준으로 주당 1시간짜리 수업을 1 단위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일주일에 4번 수업하는 과목은 이수단위가 4라고 합니다.
최소 이수단위
대학에 지원하기 위해 이수해야 할 최소 단위수입니다.
이를 이수하지 않을 경우 대학 지원이 제한됩니다.
비교내신제
검정고시 합격자, 재수생 등 특정 졸업 연도 이전 졸업자, 외국고등학교 출신자 등과 같이 학생부 성적을 확인할 수 없거나 기준이 모호한 경우 수능 성적 등을 비교하여 학생부 교과 성적을 대체할 점수를 산출하는 제도라 합니다.
여기까지 대학입시용어 정리[학교생활기록부 편]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대학입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생부의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세특)이란 (0) | 2022.02.25 |
---|---|
대학입시용어정리[수능성적표편] (0) | 2022.02.24 |
대학입시용어정리[대입전형편] (0) | 2022.02.23 |
대학입시용어정리[기초편] (0) | 2022.02.23 |
우리나라 대학교 순위[국내대학순위] (0) | 2022.02.22 |
댓글